로봇 솔더링 I
t
여러분,
현재 로봇 솔더링에 대한 관심이 상당히 높은 것은 충분한 이유가 있어요. 로봇 솔더링은 생산성과 수익성을 향상시킬 수 있지만, 현명하게 적용시켜야 해요. 다음 사항들을 고려하세요:
로봇 솔더링이 적절한 경우:
1. 한 번의 작업 양이 큽니다. 새 작업을 위해 일반적으로 상당한 설정과 프로그래밍 시간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저 혼합, 고 볼륨 영업점 때문에 로봇 솔더링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납니다.
2. 솔더링 시 공정을 결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3. 대량 솔더링 기술 (예: 웨이브 또는 리플로우 솔더링)이 불가능하거나 신뢰할 수 없는 경우.
4. 열에 민감한 구성 요소 추가. 로봇 솔더링은 전체 구성 요소가 아닌 접합 영역에만 열을 가합니다.
5. 대량 솔더링이 너무 어렵거나 느리게 될 수 있는 큰 구성 요소 추가. 크거나 다양한 보드에 대해 열 평형을 생성하기 위해 느린 리플로우 프로파일이 필요합니다.
6. 대량 솔더링 기술 또는 사람의 손으로 솔더링하여 결함이 빈번히 발생하는 영역.
로봇 솔더링이 적절하지 않은 경우:
1. 고 혼합, 낮은 볼륨 영업점. 이는 높은 업무 혼합 작업 환경의 경우 설정 시간이 길어지기 때문이에요.
2. 솔더링 공정 동안 결정해야 요합니다. 예: 작업자가 접합 형태를 보면서 솔더링에 약간 더 열이나 솔더를 사용할지 결정할 필요가 있음. 로봇은 이러한 유형의 결정을 할 수 없어요.
3. 대량 솔더링 기술이 잘 작동합니다. 대량 솔더링 기술의 속도를 이기기는 어렵습니다.
요점: 사람은 더 유연하고 적응 가능한 납땜자이고, 로봇은 더 일관성이 있습니다.
접촉 대 비접촉 솔더링
인두 끝을 사용한 접촉 솔더링이 가장 일반적인 로봇 솔더링 기술이에요. 가장 저렴하지만, 인두 끝이 갈 수 있는 곳이 제한되어 있어요.
비접촉 솔더링은 일반적으로 레이저로 수행되죠. 이 기법은 일반적으로 비용이 더 많이 들고, 덜 일반적이며, 접합 크기로 에너지 입력을 변경하기가 어려워요. 주요 이점은 도달하기 어려운 곳의 솔더링에 종종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에요.
로봇에 대한 추가적인 생각
미래에 로봇이 너무 많은 일자리를 앗아갈 것인가에 대한 많은 우려가 계속되고 있고, 최근 뉴욕 타임즈의 “로봇이 우리 아이들의 직업을 앗아갈 것인가?”기사가 있어요. 분명히 로봇은 1800년대 초 역직기나 100년 전 조립 라인처럼, 많은 일자리를 앗아갈 거에요 그러나 지금까지 역사를 통해 볼 때, 그러한 기술 발전은 우리의 삶의 수준을 매우 크게 향상 시켰어요. 저는 이러한 추세가 지속될 것으로 기대해요. 누군가는 일자리를 잃게 될 것이지만, 대다수 사람들에 대한 재 교육으로 더 나아질 거에요. 그러한 면직된 사람들은 로봇 설계 및 구축, 로봇 판매, 로봇 모델 지정, 로봇 구매, 로봇 설치, 로봇 프로그래밍, 로봇 유지보수, 로봇에 대한 필요성 창출 등, 더 많은 흥미로운 직업과 같은 새로운 일을 수행하게 될거에요. 이 주제가 최근 “기계가 모든 것을 다 할 때 무엇을 해야 하는가”라는 책에서 다루어지고 있어요.
현재와 미래의 로봇이 얼마나 “재능 있을”까요? 별로에요. 그들은 사람보다 일관성 있게 프로그램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요. 그러나 그것들은 인간에게는 간단한 많은 작업을 수행할 수 없어요. 아래 사진에서 보는 것처럼, 저의 7세 손자인 네이티 수가 조립한 “레고 닌자고 영화 전광 제트,” 어셈블리를 생각해 보세요. 2017년 3월에 발행된 사이언티픽 어메리칸에서 게리 마커스의 “나는 인간인가?”에 따르면, 그러한 장난감을 조립하는 것은 오늘날의 로봇 공상 과학 영역에 속할거에요. 또한, 로봇은 4학년 과학 객관식 시험을 통과하지 못해요. 그리고 여기에는 그래프나 숫자가 있는 질문은 없어요. 이러한 걱정을 추가하는 것은 절망적이에요.
7세인 네이티 수가 쉽게 다룰 수 있는 이 장난감을 조립할 수 있는 로봇은 없어요.
따라서, 로봇이 간단한 인간의 기능 조차도 갖추게 되려면 수 십년이 걸릴거에요.
로봇 솔더링 소재를 많이 개발한 많은 인듐 코퍼레이션 동료들에게 감사드려요.
로봇 솔더링 II 를 기대해 주세요.
감사합니다,
론 박사
Connect with Indium.
Read our latest posts!